연구 자료

‘연구자료’는 <혐오시대, 인문학의 대응> 아젠다 연구의 전문적인 성과를 포함해서 국내외 주요 관련 연구 자료로 구성된다.

한국 사회 내 젠더갈등과 편향성의 동원
  • 저자구본상
  • 발행처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 발행연도2023
  • 작성언어국문
  • 키워드젠더갈등,편향성의 동원, 갈등인식, 성차별주
  • 자료형태논문
  • 수록면현대정치연구 제16권 제2호(통권 제38호) 51 - 97 (47page)
13

조회

본 연구는 대선과정에서 주목받은 젠더갈등이 정치적으로 동원되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과정, 선거 직후, 그리고 선거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우리 사회에서 젠더 간 이념적 차별성, 젠더갈등 인식에서의 성차, 젠더갈등 인식의 지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경험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거운동 과정에서 20대 남녀의 정책이념 간 차별성은 뚜렷해졌고, 청년 남성층 가운데 정치적으로 보수성이 강한 군집이 감지되었다. 둘째, 성별, 연령, 세대 외에도 다양한 정치변수와 젠더갈등 인식 간 연관성이 2022년 4월 조사에서 확인되었으나, 2023년 1월 조사에서는 사라졌다. 특히, 젠더갈등 인식과 정치적 양극화 간 강한 연관성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여성가족부 폐지는 성차별주의적 인식과는 별개로 이미 정치 쟁점화된 반면, 여경 체력검정 기준과 같은 쟁점은 아직 정치적으로 동원되지는 않았으나 정파적 변수와도 연계를 보임으로써 향후 정치적 동원 가능성이 감지되었다. 결국, 현재 한국에서 드러난 젠더갈등 양상은 근본적인 균열에 기반을 두고 있다기보다 청년층에 존재하는 성차가 특정 쟁점을 통해 정치적으로 동원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국문요약
Ⅰ. 서론
II. 한국사회 내 젠더갈등
III. 다른 사회갈등 인식과의 비교 분석
IV. 정부 교체 이후 조사결과와의 비교 분석
V. 성역할과 여성 관련 쟁점에 대한 태도 분석
VI. 결론
참고문헌

자료 출처: DBPia
아카이빙 정보